@색상요소에는 base color, dominant color, accent color가 있음
@종류
-색상에 의한 배색: 동일,유사,반대 색상
-명도에 의한 배색: 고명도,중명도,저명도,명도차가 큰 배색
-채도에 의한 배색: 고채도,저채도,채도차가 큰 배색
@배색방법
-Gradation
-Seperation
-dominant
-Accent
-색상과 톤의 배색
Tone On Tone
Tone In Tone
Tonal
까마이외
포까미이외
-다색상배색
-비콜로배색
-트리콜로배색
배색에 관한 이론이 함정도 물론 존재할 것 같다.
예를 들어서 리얼함을 표현하고 싶은 디자인의 경우 아프리카 원주민의 옷의 색상은 다채롭다. 이 같은 실제 세계에서는 색 배합을 신경쓰지 않고 만들어진 의상이나 사물이 많으므로 함정이 될 수 있고, 혹은 엔진이 색상자체를 어둡게 표현하는 엔진이 있는데 이 같은 경우에는 컨셉에서 부터 채도가 강하게 하더라도 별로 튀지 않는다. 머 이런저런 예외가 있긴 하지만 색상 계획과 전달에서 이론이 필요한것은 당연한 일인듯 하다,
댓글 없음:
댓글 쓰기